210903_경제용어 정리 Part1
1. 가산금리 -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 - 신용도高: 가산금리 낮음, ...
blog.naver.com
https://youtube.com/shorts/-yhSM7GgATs?feature=share
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
- 뉴욕증시 하루 만에 3대 지수 급락: 하루사이 20% 변동
- 미국 백악관 "중국 합계 관세 145%: 펜타닐 20% 추가
- 트럼프 "중국과 협상하고 싶어: 양국에 좋은 결과 가져올 것"
- 미국 3월 CPI, 전년비 +2.4%: 4년래 최저
- BMW, 미국 현지 생산량 최대 8만 대까지 늘리는 방안 검토
- 노바티스, 관세 인상 임박에 미국 230억 달러 투자 약속
- EU "보복조치 90일간 보류":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에 '화답'
- 옐런 전 미국 재무장관 "트럼프 관세 최악의 자해"
오늘의 미국 3대 지수 및 글로벌 증시 현황 및 요약
1. 미국증시: 급락, 하루동안 ±20%
- 미국증시, 미중 무역전쟁 우려 속 급락
- 미국 백악관: 중국 합계 관세 145% 부과
- 아마존 CEO "일부 판매자, 소비자에 관세 비용 전가 전망"
- 미국 3월 CPI, 전년비 +2.4%: 4년래 최저
2. 유럽증시: 상승, 3년래 최대 상승폭 기록
- 트럼프, 유럽에 대한 상호관세 90일간 유예
- EU, 미국 보복관세 유예
3. 아시아증시: 일제히 환호, 상호관세 유예 기대감
1) 일본증시
- 닛케이 9% 폭등, 역대 2번째 상승폭 기록
- 일본 정부/여당: 1인당 최대 50만 원 지원금 검토
2) 중국증시
- 중화권 증시 상승: 부양책 기대감, 위안화 하락
- 중국 "미국과 대화의 문 열려있어, 상호존중 바탕돼야"
- 미국 기업들, 중국 공장 주문 취소 시작: 관세 인상 여파 현실화
3) 대만증시
- TSMC, 1분기 매출: 전년비 41% 급증
- 미국 LNG 수입 비중 3배 확대: 관세 협상 일환
원자재 및 암호화폐 현황
1. 국제유가 3%대 급락: 미국-중국 갈등확대
: WTI 장중 배럴당 60달러 하회
: 백악관 "대중 합계 관세 145%"
: S&P글로벌 "관세發 유가 변동 지속"
2. 금선물, 장중 온스당 3,193달러: 최고가 돌파
3. 비트코인, 한 때 8.3만 달러 회복
1) 금: 3,1829.92 USD/OZ
- 금선물, 사상 최고치 경신
2) 국제유가&천연가스
- 국제유가 하락: 미국/중국 무역전쟁 우려
3) 미국 10년물 국채금리: 4.427 % P
- 미국 3월 CPI, 전년비 +2.4%: 4년래 최저
- 미국 국채금리 급등
: 중국, 보복성 국채 매각 유력
: 일본, 미국 채권 매도 가능성
: 미국 국채, 안전 자산은 옛말 - 미국 30년물 국채입찰 응찰률 2.43배: 수요 양호
- 주요 외신 헤드라인: 트럼프 국채시장 지켜보고 있어.
: WSJ) 국채시장 불안, 트럼프 멈춰 세워
: 블룸버그) 트럼프 미국 국채 의식
: 뉴욕타임스) 트럼프를 움직인 건 국채 - 월가의 전망
: 바클레이즈) 연준, 시장 개입 가능성有
: 블룸버그) 국채시장, 정치적 요인 움직임 보여
4)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: 3,893.3
5) 비트코인: 79,757.2 USD/BTC
6) 달러인덱스: 101.01 (1452.46 달러/원)
- 미국 달러 인덱스, 2022년 이후 최저
-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: 미국 무역정책, 달러 신뢰 반하는 결과
- 유로화, 달러대비 1년 9개월래 최고치
개별 기업 현황 및 요약
1) 엔터테인먼트 섹터: 디즈니, 파라마운트, 워너브라더스
- 중국, 미국 영화 수입 축소로 맞대응 → 중국, 세계 2위 영화 시장 보유
: 관세 남용, 관객 호감도 낮출 것
: 자국 블로거들 보복 제안 반영한 조치
: 할리우드에 타격: 영화사 주가 급락
2) 카맥스
- 1분기 매출_예상상회 / EPS _ 예상하회
- 관세정책, 장기 재무목표 시점 철회
: 진척은 있었지만, 거시경제 변수 고려
: 고율 관세로 자동차 산업 전반 부담
: 중고자 수요 증가, 가격도 2년 만에 상승
: 정비에 필요한 부품 가격 증가 - 비용 부담 대응을 위한 전략 마련 중
3) US스틸
- 트럼프, 일본 제철의 US스틸 인수 반대
: 이 회사가 일본에 넘어가선 안돼
: 대선기간(반대) → 이번주초(찬성) → 오늘(반대)
: 국가안보 관련 위원회에 인수안 재검토
: 다시 강경발언: 입장 혼선 커져 - 백악관, 모든 가능성 열어둔 상태
4) TSMC
- 1분기 실적: 예상상회, 22년 이후 최고 성장
- AI서버, 스마트폰 수요 증가가 배경
- 관세 우려로 고객사 조기 확보 움직임
- 부정적 전망
: 장기적, 투자속도 둔화 우려
: 몇몇 애널리스트, 연간 매출 성장률 전망 하향 가능성
5) 제노버
- 460만 달러 규모 솔라나 매입: 디지털 자산 전략 따른 첫 실행사례
: 매입한 솔라나, 스테이킹 방식 활용
: 솔라나, 블록체인 예치 보상 얻는 방식 - 네트워크 기여 및 수익 창출 목표
- 향후 검증자 노드 운영도 추진 예정
6) 엔비디아: 모건스탠리 탑픽
- 모건스탠리, 긍정적 전망 유지
- 강한수요 → 관세 부담 상쇄 가능 (투자위축, 더 큰 리스크로 지적)
- 완제품에는 관세가 있지만, 엔비디아에는 영향小
- GB200 북미 생산으로 생산지 이전 용이
- 수출 규제가 더 큰 변수, 수요는 여전히 증가 중
이슈 1, CNBC) 관세 관련 정리
1. EU, 미국 철강관세 보복 90일 보류: 트럼프 관세 유예에 회답
- 백악관 "중국에 대한 누적 관세 145%로 정정": 펜타닐 20% 추가
- 중국 "미국 관세 불구, 수준 높은 대외개방 확대"
- BMW) 관세부담에 미국 현지 생산 확대 검토: 리쇼어링 효과
- 아마존) 제 3자 판매자들, 소비자들에게 관세 비용 전가 예상
- 골드만삭스) 자동차와 같은 경우, 소비자들에게 관세 비용 전가 불가 → 자동차 수요 감소중
2. 미국 기업들, 중국 발주 취소 시작
1) 아마존
- 중국 발주 비치체어, 스쿠터, 에어컨 등 취소 통보
- 아마존에 납품하는 중국 기업, 미국서 가격인상/철수 고려중
2) 월마트
- 1분기 영업이익 전망 철회
- 대규모 매장 확대: 가격인하 전략
- 중국 발주 제품, 10여 년 만에 가격표 미부착
이슈 2, 마켓워치) 미국 경제지표
1. 미국 3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 2.4%로 예상 밖 둔화: 4년 만에 최저
- 미국 근원 CPI, 전년비 +2.8%: 예상하회
- 에너지, 주거비 상승폭 둔화
- 3월 CPI 월가 반응: 즉, 가볍게 받아들여야 함.
1) 골드만삭스
: 오늘 CPI 발표, 과거 회상하는 느낌
: 연준, 관세發 물가상승 및 경기둔화 상황서 어려운 선택 해야 할 것
2) 로이터
: 3월 인플레 둔화된 점 긍정적
: 미국 소비재 대부분 공급하는 중국과 무역전쟁 격화되는 점 고려해야
이슈 3, 블룸버그) 연은총재들 발언
1.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
- 고용보다 물가에 집중할 때, 관세 영향 지켜봐야
- 관세發 인플레 영구화 경계
2. 댈러스 연은 총재
- 관세 예상보다 높아, 실업률 인플레이션 오를 것
- 인플레 위험에 온전히 집중
3. 시카고 연은 총재
- 관세, 스태그플레이션 충격 야기
- 하드 데이터보다 소프트 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지는 중
- 완전 고용을 유지하고 있으며, 인플레는 지속 하락추세를 보이는 중
4/7 ~ 4/12, 글로벌 증시 주요 일정
✅ 미국 상호 관세 적용, CPI, PPI, 5년 기대 인플레
*실적: 리바이스
*이벤트: Hong Kong Web3 Festival 2025(~9)
📈 4월 8일 (화)
*실적: 삼성전자
*이벤트: Paris Blockchain Week(~10)
📈 4월 9일 (수)
23:30 미국 원유재고
*이벤트: 미국 상호 관세 적용★, SEC, 블랙록 ETH ETF 옵션 거래 승인 여부 결정
📈 4월 10일 (목)
03:00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★
08:00 한국 실업률 (3월)
21:30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(MoM) (3월)★
21:30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(YoY) (3월) ★
21:30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★
*이벤트: 미국 옵션만기, 권도형 재판 사건 심리 회의
📈 4월 11일 (금)
05:30 미국 Fed's Balance Sheet
15:00 영국 GDP (MoM) (2월)
21:30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(MoM) (3월)★
23:00 미국 미시간 5년 인플레이션 예상 (4월)★
*실적: JP모건, 블랙록, 웰스파고, 모건스탠리
🚩주요 일정
4.06 Hong Kong Web3 Festival 2025(~9)
4.08 Paris Blockchain Week(~10)
4.09 SEC, 블랙록 ETH ETF 옵션 거래 승인 여부 결정
4.14 ETH Seoul
4.11 美 SEC TF, 암호화폐 트레이딩 규제 조정 논의
4.17 한국 금리결정
4.18 미국 부활절
4.25 美 SEC TF, 암호화폐 커스터디 관련 논의
4.23 연준 베이지북 공개, $SOL 그레이스케일 현물 ETF 승인 2차 마감
4.30 $ETH Pectra 메인넷 업그레이드
5.01 일본 금리결정
5.30 FTX 2차 상환일
'미국증시현황 및 요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4월 15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트럼프 유연성, 엔비디아 슈퍼컴퓨터 (27) | 2025.04.15 |
---|---|
[4월 14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반도체관세, 미국 3월 PPI / 기대인플레 / 국채금리 (32) | 2025.04.14 |
[4월 9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데드캣바운스, 관세전쟁 본격화, R의공포 (34) | 2025.04.09 |
[4월 8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 R의공포, 가짜뉴스 조심 (16) | 2025.04.08 |
[4월 7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상호 관세, 보복 관세, 증시 패닉, 나스닥 약세장 (40) | 2025.04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