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10903_경제용어 정리 Part1
1. 가산금리 -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 - 신용도高: 가산금리 낮음, ...
blog.naver.com
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
- 뉴욕 연은 1년 기대인플레 3.6%: 실업률 우려, 5년래 최고
- 트럼프 " 자동차 기업 도울 방안 검토: 의약품 관계, 머지않아 시행"
- 옐런 전 미국 재무장관 "달러가치 하락, 미국 신뢰 상실 의미"
- 월러 연준 이사 "관세發 인플레 상승 일시적" 금리인하 시사
- 엔비디아 "미국서 4년간 700조 원 규모 AI인프라 생산 계획"
- 애플, 1분기 아이폰 출하량 10% 증가: 시장점유율 19% 기록
- 시진핑, 베트남 국빈 방문 개시: 관세 공동 대응 노력
- OPEC, 향후 2년 원유수요 예측 하향: 미국 관세 영향
오늘의 미국 3대 지수 및 글로벌 증시 현황 및 요약
1. 미국증시
- 트럼프 관세 유연성 기대감 → 그러나, 의약품 관세 조만간 부과될 것
- 트럼프, 자동차 부품 관세 일시적 면제 시사
- 골드만삭스 1분기 매출, 역대 3번째: 순이익 15% 급증
2. 유럽증시: 상승마감, 미국 관세 유연성 기대
3. 아시아증시
1) 일본증시
- 닛케이 1% 상승: 트럼프 관세 유연성 기대감
- 이시바, 미국에 보복관세는 국익에 도움 되지 않아
2) 중국증시
- 중국 3월 수출액, 전년비 12% 급증: 수입액은 -4.3%
- 골드만삭스, 중국 주요 주가지수 목표치 하향 조정
- 번스타인, 미국/중국 무역전쟁서 승리할 AI관련주 선정
3) 대만증시: 약보합권, 트럼프 관세 정책 혼란
4) 베트남: 한국/중국 협력 강화, 시진핑과 미국 관세 동동 대응 모색
원자재 및 암호화폐 현황
1) 국제유가 보합권: 장중 변동성 증가
- 로이터: 중국, 3월 원유 수입 반등
- OPEC: 글로벌 원유 수요 하향 조정
- 골드만삭스: WTI, 올해 평균 59달러 전망
2) 금 선물, 고점 부근 유지
3) 금속 선물 상승: 달러 인덱스 99선
1) 금: 3,226.85 USD/OZ
- 금선물, 숨 고르기 장세
- TD증권 "금선물, 달러 약세로 상승전망"
- 골드만 "금선물, 올해 연말까지 3,700달러 전망"
2) 국제유가&천연가스
3) 미국 10년물 국채금리: 4.383 % P
- 뉴욕 연은 1년 기대 인플레, 1년 반래 최고
4)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: 4,003.2
5) 비트코인: 84,664.1 USD/BTC
6) 달러인덱스: 99.71 (1420.29 달러/원)
- 미국 달러화 약세 지속: 경기 침체 우려 영향
개별 기업 현황 및 요약
1) 자동차 섹터: 포드, GM, 니오, 테슬라, 니콜라
- 트럼프, 자동차/ 부품관세 일시 면제 검토
- 고율관세, 공급망 차질/ 가격상승 우려 커져
- 포드 / GM / 스텔란티스, 저가 부품 면제 요청
- 광범위한 부품관세, 실적악화, 감원 우려
- 자동차 업계 일시적 숨통, 정책 방향은 불확실
- 트럼프 "머지않아 의약품 관세 부과 예정 "
2) 골드만삭스: 1분기 매출/ EPS, 예상상회 (어닝서프라이즈)
3) 스트래티지
- 2.86억 달러 들여 비트코인 추가매입
- 총 보유량 53만 개 돌파: 누적 매입액 359억 달러
4) 메타
- '시장 독점' 반독점 소송 본격 재판 돌입
- FTC "인스타, 왓츠앱 인수로 경쟁 배제" 주장
5) 팔란티어
- 나토 AI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
- 미국 자동자동차 사용 '메이븐': 전장 데이터 분석
- 웨드부시: 목표가 120달러 '아웃퍼폼' 유지
6) 화이자
- 경구용 비만치료제 '다누글리프론' 개발중단
- 임상 중간 효소 수치상승: 간 손상 우려 제기
7) 인텔
- 자회사 알테라 지분 과반 실버레이크에 매각
- 갤싱어 CEO "사업 집중, 재무 안정 위한 결정"
8) 애플
- 1분기 스마트폰 글로벌 판매량 1위
- 아이폰 16e, 일본 / 인도 수요가 실적 견인
: 인도 생산량 확대, 탈 중국속도 가속화
: 애플 1분기 아이폰 출하량 10% 증가, 관세 대응 전략 - 트럼프 일시적 관세 면제에 상승
9) 엔비디아
- AI 슈퍼컴퓨터 전량 미국서 생산 계획
: 4년간 최대 5000억 달러 규모 인프라 구축
: 미국 내 공급망 강화, 수요 대응 목적 →: 텍사스 휴스턴 / 댈러스 생산시설 마련
: 12~15개월 내 대량 생산 돌입 예상 - 디지털 트윈 / 로봇 자동화, 공장 운영 최적화
이슈 1) 관세와 실적영향
1. 각 기업들의 관세로 인해 실적 영향성은?
- 로이터: 하반기, 소비 위축 예성 → 향후 실적 우려
- BofA: 가이던스 미제시 기업 다수 예상
- JP모간: S&P500 기업 전망치 하향 예상
2. 가이던스 철회 기업 속출
- 델타: CEO "향후전망 불확실: 가이던스 철회"
- 로지텍: 관세 지속 시 실적우려, 가이던스 철회
- 카맥스: 실적 예상 하회, 가이던스 철회
- 월마트: 관세 영향 불투명, 영업이익 가이던스 철회
3. 주요 외신 헤드라인
- CNBC: 관세로 인한 실적 둔화 목격
- 블룸버그: 불확실성 지속, 기업 소비자 모두 어려운 상황
- WSJ: 가이던스 미제시, 확대된 범위 제시 기업 다수 예상
- 로이터: 실적시즌 고비, 가이던스 불투명
이슈 2, 블룸버그) 트럼프, 자동차 기업 돕는 방안 검토: 부품관세 추가 면제 시사
1. 트럼프, 자동차 기업 돕는 방안 검토: 부품관세 추가 면제 시사
2. 트럼프, 전자제품 관세 면제 즉답 회피: 의약품 관세, 머지않아 시행
- 스마트폰 등 관세 면제 질문 즉답 회피 → 상호관세 예외 / 품목별 관세 다른 관세로 분류하기 위함
- 의약품 관세, 머지않은 미래에 시행
이슈 3, CNBC) 월러 연준이사: 관세發 인플레 상승 일시적
1, 월러 연준이사: 관세發 인플레 상승 일시적
- 광범위하며 장기적인 관세 시나리오
: 초기 인플레 4~5% 수준 급등 가능
: 결국 성장둔화, 실업률 증가로 인플레 하락 - 관세 더 낮은 시나리오: 인플레 3% 수준까지 상승 후 하락
- 결국 금리인하 나설 것 → 차이는 시점뿐
'미국증시현황 및 요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4월 17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매파적 파월, 엔비디아 수출제한, 엔화강세 (30) | 2025.04.17 |
---|---|
[4월 16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트럼프 관세 일시 중단 (유연성), 은행주 어닝 서프 (23) | 2025.04.16 |
[4월 14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반도체관세, 미국 3월 PPI / 기대인플레 / 국채금리 (32) | 2025.04.14 |
[4월 11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±20% 변동성, CPI 예상 하회, 국채 금리 급등 (34) | 2025.04.11 |
[4월 9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데드캣바운스, 관세전쟁 본격화, R의공포 (34) | 2025.04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