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10903_경제용어 정리 Part1
1. 가산금리 -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 - 신용도高: 가산금리 낮음, ...
blog.naver.com
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
- 미국 연속 실업수당 청구 3년 4개월 만에 최대: 스태그 공포 우려
- 미국 3월 ISM서비스업 PMI 50.8: 예상치 53
-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% +@ 상호관세 펭귄 마을에도 부과
- 캐나다, 미국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25% 맞불관세: 부품은 제외
- 미국, 한국 관세율 25%로 확정: 행정명령 부속서 수정
- 트럼프관세 직격탄 맞은 빅테크 주가 급락: 애플 -9%
- 테슬라, 1분기 독일 판매량 62% 급감: 부품 관세 겹악재
- 인텔-TSMC, 칩 제조 합작사 설립에 잠정 합
오늘의 미국 3대 지수 및 글로벌 증시 현황 및 요약
1. 미국증시
- 미국 증시급락: 상호관세 충격
- 미국 연속 실업수당 청구 3년 4개월 만에 최대: 스태그 공포 우려
- 미국 3월 ISM서비스업 PMI 50.8: 예상치 53
- 미국 챌린저 감원계획, 사상 세 번째 규모 급증
2. 유럽증시: 급락, 상호관세 충격 이어져
3. 아시아증시
1) 일본증시: 연이은 악제, 관세/엔화급등/ 실적
- 지극히 유감: 미국에 재검토 강력히 요구할 것
- 직접 트럼프와 대화 희망: 보복조치 관련한 언사는 삼가고 싶어
2) 중국증시: 트럼프, 중국 소액 소포 면세 폐지 행정명령
- 미국, 중국에 상호관세 34% 부과: 총 54%
- 미국 주관적, 일방적 관세: 단호히 대응할 것 (평등한 대화 통해 원만히 해결해야)
3) 대만증시: 급락
- 상호관세 계산 방식 잘못돼: 실질적 무역관계 반영하지 않아
- 대만의 대미무역 급증은 미국의 대중국 제재 때문임
- 원산지 표기 문제, 적극 시정
4) 베트남: 23년래 최대 폭락, 관세율 46%
- 차분하고, 용감하고, 적극적이게 대응해야
- 항공사 경영진 대동해 미국 방문
5) 인도
- 의약품 관세 피해: 오히려 기회
- 타 아시아 국가 비해 관세율 상대적으로 낮아
- 자동차 부품 및 귀금속 업종 타격: 중국 대체지 매력 떨어져
원자재 및 암호화폐 현황
1. 국제규가 6%대 하락: 관세영향
: 상호관세 발표, 경기둔화 우려 증가
: OPEC+ 내달부터 증산 계획 발표
: 미국 주간원유 재고 예상 대폭 상회
2. 구리 4%대 하락: 상호관세 적용 제외
3. 비트코인, 한때 8.2만 달러 하회
1) 금: 3,138.25 USD/OZ
- 금, 차익실현 급증: 주식시장 손실 만회 시도
2) 국제유가&천연가스: 급락, OPEC+ 증산 결정
3) 미국 10년물 국채금리: 4.032 % P
- 미국 국채시장: 패닉바잉, 안전자산 선호심리 증가
- 미국 3월 감원계획 27만: 1분기 규모 16년래 최고치
- 미국 3월 ISM 서비스업 50.8: 예상하회
4)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: 3,893.7
5) 비트코인: 82,539.6 USD/BTC
6) 달러인덱스: 101.95 (1451.68 달러/원)
- 유로화, 6개월래 최고: 장중 1.11달러선 돌파
개별 기업 현황 및 요약
1) 필수소비재
- 무역전쟁 불확실성 증가
- 경기방어주 = 경기 상황에 덜 민감한 업종, 예) 식료품, 세제, 치약 등 필수소비재
- 필수소비재는 경기 침체에도 수요 유지
- 매출 변동 적고 안정적 수익 기대 가능
- 단, 중국 수입 비중 큰 타깃: 월마트는 악재
2) 룰루레몬
- SEC, 제품 40% 베트남에서 조달 (베트남관세: -46%)
- 전체 제품 약 90% 아시아 국가서 생산
- 캄보디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등
3) 나이키
- 동남아 지역서 대부분 제품 생산: 주가 폭락
- 전체 신발 약 50% 중국과 베트남에서 생산
: 중국, 총 54% 관세 적용 (기존 20% + 추가 34%)
: 베트남 관세 34%
4) 포드
- 관세 부담 완화 위한 할인정책 시행
- 일부 차량 모델: 임직원 할 일가 전 고객에 적용
- 프로그램 명칭: 미국에서, 미국을 위해
5) 덱커 아웃도어
- 어그부츠로 잘 알려진 신발 브랜드
- 베트남 68곳, 중국 125곳 공급망 보유
6) VF코퍼레이션
- 중국과 베트남 공급망 의존도 높음
- 주요 브랜드: 노스페이스, 팀버랜드, 반스, 잔스포츠
- 전체 공급업체 중 38% 중국, 17% 베트남에 위치
- 두 국가 의존도 총 55%
7) 웨이페어
- 2월 실적발표 CFO발언 주목: 캄보디아, 베트남, 태국, 필리핀에 공장 조성
8) 스탤란티스
- 관세 대응을 위해 공장 가동 중단 결정
- 대상: 캐나다, 멕시코 소재 2개 조립공장
- 미국 內 노조 직원 약 900명 일시 해고예정
- 캐나다 공장 시간제 근로자: 약 4,500명 영향
9) 애플
- 5년래 최대낙폭: 글로벌 공급망 대표 기업 → 생산 주로 중국에 의존
- 단말기당 수백 달러 추가 비용 발생 가능성
- 1기 트럼프 정부 때부터, 생산지 다변화 시도
- 중국, 베트남, 인도서 제품생산: 관세 직격탄
10) 마이크로소프트
- S/W외 Xbod, Surface 등 H/W를 운영
- 해당 기기들 대부분 중국 생산
- 2019년 이후 일부 생산기지 베트남 등으로 이전
11) 구글
- 검색, 광고, 클라우드 등 비물질 서비스 중심
- 직접적인 관세 영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
- 픽셀폰, 스마트스피커, 크롬캐스트 H/W 제품군 有
- 해당 기기들 주로 아시아 국가 생산
12) 아마존
-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
- 방대한 상품 재고와 글로벌 물류망 보유
- 미국內 판매제품 상당수 60여 개국서 수입
- 의류: 베트남, 방글라데시
가구: 베트남, 태국 생산 비중 높음
13) 엔비디아
- 백악관 "반도체는 신규 관세대상 아님"
- 시장 불안감은 해소되지 못함
- HSBC: 투자의견 '보유'로 하향 (목표주가 175 → 120달러로 조정)
- 향후 1~2년 실적 서프라이즈 가능성 낮음
- 벨류에이션 재조정 우려도 반영 안 되었음
14) 메타
- SNS, 온라인 광고 중심 비물질 사업구조
- 최근 VR/AR 등 XR하드웨어 사업에 집중 → 관련 기기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
- 2018년부터 일부 생산을 베트남으로 분산
12) 테슬라
- 미국內 차량 미국 공장 (프리몬트, 텍사스) 생산
- 그러나, 부품/ 원자재는 글로벌 공급망으로 의존 (배터리셀, 전자부품 등 수입 비용 증가 우려)
13) 인텔
- 인텔, TSMC 칩제조 합작 투자 잠정합의
- TSMC, 합작 법인 지분 20% 인수 예정
14) TJX 컴퍼니스:시티그룹 PICK
- 투자의견: 매수 (128 → 140달러, 상승여력 12%)
- 관세 혼란 속, 오프프라이스 업체에 상품확도 기회 확대
- 단기적 방어 위치, 장기적 성장기대
- 경쟁 유통업체 고전시,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
15) 로스 스토어스: 시티그룹 PICK
- 목표주가: 146달러 유지 (상승여력 10%)
- 관세 혼란 속, 오프프라이스 업체에 상품확도 기회 확대
- 단기적 방어 위치, 장기적 성장기대
- 경쟁 유통업체 고전시,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
이슈 1) 빅테크에 대한 관세 영향
1. 관세發 빅테크 타격 우려
- 글로벌 공급망 비용 증가
- 빅테크, 해외 공급망 다수
- 웨드부시, "기술주, 예상보다 큰 압박 예상"
2. 월가의 의견
- 모건스탠리
: 애플, 연간 85억 달러 추가비용 발생 예상
: 인도, 베트남 생산공장 有 (매출 타격) - 로잰블: 애플, EPS 약 32% 감소 가능성 제시
- 골드만삭스
: 실질 관세율 20% 가까워질 것
: 미국 증시에 지속적 압박 → 기술주 매도 목격
3. EU, 미국 빅테크 제재 가능성
- 관세난사, 통상위협 대응 조치 카드 자극
- 디지털 시장법 강화 예상
- 미국 빅테크, 과징금 부담
- EU집행위원장: 필요하다면 보복 계획
4. 기술주 긍정 전망
- 모간스탠리: 하반기 반등 가능성 제시
- BENZINGA: 1분기 실적시즌, 반등시점 될 것 (달러약세, 실적에 긍정적 작용 예상)
5. 미국 빅테크 관련 ETF
이슈 2, 블룸버그) 미국 상무부, 관세 인하 가능성에 "미국 제품 얼마나 수입하느냐가 관건"
1. 에버코어 ISI, "미국 가중평균 관세율, 29% 추정"
- 미국 상무부, 관세 인하 가능성에 "미국 제품 얼마나 수입하느냐가 관건"
- 미국 자동차 25% 관세 정식 발표: 한국산 자동차 대미수출 타격
- 블룸버그, 스태그플레이션 전망 강화: 시장 변동성 우려
2. 미국 상호관세에 대한 월가의 반응들
- JP모간: 노동시장 견고함 증명하는 하드데이터 나올 시 성장률 등 하방 경직성 유지 가능
- 울프리서치: 최악의 시나리오보다 더 나빠, 미국內 생산시설 확대한 기업들에 예외나 면제사항 나올지 지켜봐야 함.
- 시티: 시장의 불확실성 단기적으로 해소될 가능성 낮아, 위험자산에 투자 늘리기 적절한 시점 아님.
- RBC: S&P500 4900~5300까지 추가 하락 가능, 최종 관세율 관련 불확실성 지속 및 경제심리 악영향 우려 스러
이슈 3, 마켓워치) 경제지표발표: S&P 글로벌 서비스업 / ISM 서비스업 / 계속 실업수장 청구
1. 미국 3월 ISM 서비스업 PMI 50.8: 예상하회
- 미국 3월 S&P 글로벌 서비스업 54.4: 예상치 53.5
2. 미국 계속 실업수당 청구, 190.3만 건: 3년 4개월래 최대
- 신규채용 감소중: 즉, 고용시장 둔화가 지속적으로 보임.
이슈 4, 로이터) 연준위원들 발언 모음
1. 제퍼슨 연준 부의장: 관세영향 평가 시간 필요
2. 쿡 연준이사: 당분간 금리동결, 상황 주시
3/31 ~ 4/5, 글로벌 증시 주요 일정
📈 3월 31일 (월) 08:00 한국 소매판매 (MoM) (2월) 10:30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(3월) 📈 4월 1일 (화) 18:00 유럽 소비자물가지수 (YoY) (3월) 22:00 미국 FOMC 위원 Barkin 연설 22:45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(3월) 23:00 미국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 (3월) 23:00 미국 노동부 JOLTS (구인, 이직 보고서) (2월)★ * 이벤트: OPEC+ 점진적인 증산 전환 📈 4월 2일 (수) 08:00 한국 소비자물가지수 (YoY) (3월) 21:15 미국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(3월) 23:30 미국 원유재고 * 미국 국가별 상호관세 발효★
📈 4월 3일 (목): 패닉셀
21:30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★
22:45 미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(3월)
23:00 미국 ISM 비제조업구매자지수 (3월)
📈 4월 4일 (금)
05:30 미국 Fed's Balance Sheet
21:30 미국 평균 시간당 임금 (MoM) (3월)
21:30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(3월)★
21:30 미국 실업률 (3월)★
*휴장 : 중국ㆍ홍콩 청명절
📈 4월 5일 (토)
00:25 미국 연방준비제도(FED) 의장 Powell 연설★
* 이벤트: 미국 예상 틱톡 매각 기한, SNL 코리아 시즌 7 공개
🚩주요 일정
4.06 Hong Kong Web3 Festival 2025(~9)
4.08 Paris Blockchain Week(~10)
4.09 SEC, 블랙록 ETH ETF 옵션 거래 승인 여부 결정
4.14 ETH Seoul
4.11 美 SEC TF, 암호화폐 트레이딩 규제 조정 논의
4.17 한국 금리결정
4.18 미국 부활절
4.25 美 SEC TF, 암호화폐 커스터디 관련 논의
4.23 연준 베이지북 공개, $SOL 그레이스케일 현물 ETF 승인 2차 마감
4.30 $ETH Pectra 메인넷 업그레이드
5.01 일본 금리결정
5.30 FTX 2차 상환일
'미국증시현황 및 요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4월 8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 R의공포, 가짜뉴스 조심 (16) | 2025.04.08 |
---|---|
[4월 7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상호 관세, 보복 관세, 증시 패닉, 나스닥 약세장 (40) | 2025.04.07 |
[4월 3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슈퍼 T데이, 트럼프 상호 관세발표 (27) | 2025.04.03 |
[4월 2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관세발표(D-1), JOLTs보고서, 샤오미 전기차 화재 (34) | 2025.04.02 |
[4월 1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상호관세, 금값 또 사상최고가 (48) | 2025.04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