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카오톡 오픈채팅
open.kakao.com
210903_경제용어 정리 Part1
1. 가산금리 -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 - 신용도高: 가산금리 낮음, ...
blog.naver.com
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
- 미국 4월 CPI, 전월비 +0.2%: 연 2.3#로 2021년 이후 최저
- 트럼프, 미국-시리아 관계 정상화 추진: 제재모두 해제
- 코인베이스, 19일 S&P500 지수 편입: 암호화폐 역사적 이정표
- 미국, 사우디와 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: 850조 원 유치
- 머스크 "스타링크, 사우디 내 항공기, 성박에 위성인터넷 제공"
- 엔비디아, 사우디에 최신 AI칩 1.8만개 공급: 주가 5만 개 급등
- 아마존-휴메인, 사우디에 첫 'AI존' 조성: 50억 달러 공동 투자 파트너십
- 오픈 AI, UAE 데이터센터 발표 준비: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일환
오늘의 미국 3대 지수 및 글로벌 증시 현황 및 요약
1. 미국증시: 3 거래일 상승마감
- 트럼프 중동 순방 활약
: 미국-사우디,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체결: 850억 원 투자 유치 - S&P500 지수, 올해 손실 회복
- 기술/임의 소비재주 급등: 엔비디아, 테슬라 급등 (엔비디아주도로 반도체주 상승 이끔)
- 유나이티드헬스 급락: CEO사임, 가이던스 철회
2. 유럽증시: 상승세, 미국 인플레 주시
3. 아시아증시
1) 일본증시
- 3 거래일 연속 상승: 수출주 매수세 유입
- 소프트뱅크 그룹, 연간 11조 원 순이익 달성: 4년 만에 흑자 전환 ('스타게이트' 탄력 받을 전망)
2) 중국증시
- 하락마감, 미국-중국 무역합의 경계
- 인도-파키스탄 분쟁서 중국 전투기 위력 증명: 글로벌 방산주 위협
3) 인도증시
- 인도, 미국 철강 관세 맞대응: 보복 조치 검토
- 하락마감, 외국인 자금 → 중국으로 유출 우려
- 두바이 정부, 암호화폐 결제 허용: 크립토닷컴과 파트너십
원자재 및 암호화폐 현황
1) 국제유가 2% 상승: 2주래 최고
- CNBC: 미국-중국, 90일간 관세 인하 영향 지속
- 로이터: OPEC+ 증산예정, 향후 변수 예상
- 백악관: 사우디, 미국에 850조 원 규모 투자
2) 코코아 선물 +9%: 이상기후에 따른 작황 및 품 우려
3) 금속 선물 일제히 상승
- 저가매수세 및 달러화 약세 영향
- 무역 불확실성이 완전 해소 되지 않았음.
1) 금: 3,254.50 USD/OZ (저가 매수세 유입)
2) 국제유가&천연가스 (미중 무역합의 / 경기침체 우려 감소)
3) 미국 10년물 국채금리: 4.471 % P
- 미국 4월 CPI, 전년비 2.3%: 4년래 최저
- 물가가 낮지만 관세로 인한 변동은 5월부터 반영될 것으로 예측
- 불확실한 하드데이터는 Fed가 금리인하를 미룰 가능성 증
4)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: 4,931.4
5) 비트코인: 104,322.9 USD/BTC
(1) 미중 무역협상 후 비트코인 의외의 하락
(2) 비트코인 하락 이유
- 거시 경제 변화: 비트코인 = 위험 회피 자산
- CPI발표 이후: 연준의 움직임 걱정
- 가파른 상승: 4월 저점 이후 40% 넘게 급등 → 단기 급등 피로감에 의한 매도새
(3) 비트코인 전망
- 배런스: 역대 최고가 달성 쉽지 않을 것
- 시티은행: 코인베이스 편입 긍정신호
- 비트맥스: 2029년까지 비트코인 100만 달러
- 중국: 비트코인 국가 전략 자산으로 활용 / 암호화폐 법적 지위 재검토
(4) 알트코인의 반란
- 알트코인 시즌 지수
: 75 이상이면 비트코인 → 알트코인
: 현재 35포인트 = 상승 추세가 시작?? - 알트코인의 랠리
: 코핏리서치센터, 알트코인 전반에 대한 기대감 살아나
: JP모건, 이더리움 ETF승인 가능성 → 현실시 더 큰 상승 가능
6) 달러인덱스: 100.98 (1417.0 달러/원, 미국 달러화 하락: 미국 인플레 둔화 영향)
개별 기업 현황 및 요약
1) 엔비디아
- 미국-사우디, 전략적 경제 동반차 협정 체결: 850조 원 투자 유치
- 젠슨황, 사우디 투자 포럼서 AI칩 공급발표
: 사우디 '휴메인'에 최신 AI칩 1.8만 개 공급
: 대규모 데이터센터용 칩 납품 (AI팩토리 구축: 사우디 정부와 협력) - 트럼프 행정부 'AI디퓨전 규칙' 공식 폐기 ★ ★ ★
- 오픈 AI, UAE 데이터센터 계약검토
2) 테슬라
- 사우디서 로보택시 도입 계획 언급 (시기는 불명확)
- 사우디서 휴머노이드 로봇 시연
- 스타링크, 사우디 내 항공기 및 선박서 공급 허가 획득
- 테슬라, 중국 신차 판매량 한주만에 69% 급감 ★ ★ ★
3) 아마존
- AWS, 사우디 '휴메인'에 50억 달러이상 공동투자 발표
- 세계 최초 AI융합 기술 허브 조성
- 클라우드, AI 결합한 혁신 공간 추진
4) 마이크로소프트
- 소프트웨어 구매자들, 집단 소송 제기 (영국)
- 시장 지배력 악용해 가격 부풀렸다는 주장
- 전체 인력의 3% 감원 계획 발표
5) 알파벳
- 직원, 외부 개발자 대상 AI에이전트 시연
- 제미나이 챗봇, XR글라스/ 헤드셋 연동 가능성
6) 브로드컴
- 브로드컴 CPO 시스템에 코닝 광학 부품 공급
- 연결밀도 증가, 전력사용 감소: AI클러스터 최적화
- 차세대 데이터용 고속 광학 솔루션 주목
7) 유나이티드 헬스
- 의료비 급증에 연간 가이던스 제시 중단
- 메디케어 수요 증가가 비용 부담 키워
- 앤드류 위티 CEO, 개인사유로 즉각 사임
8) 코인베이스
- S&P500 편입: 5/19부터 적용
- 암호화폐 산업, 주류 금융시장 진입 신호
- 반에크: 디지털 자산 업계에 상징적 이정표로 평가
9) 징둥닷컴
- 1분기 매출 / EPS, 예상상회
- 가전, 스마트폰 소비 증가: 중국 정부 보조금 정책, 실적개선에 기여
- 음식 배달 사업 진출엔 수익성 우려 커져
10) 오클로
- 총 영업비용 1790만 덜러 전년비 142.5% 증가
- 아이다호 오로라 발전소 핵연료 공급 승인
- 오로라 발전소 발전 용량 100MW 이상 확장 계획
- 고속 핵분열 발전소 개발해 전력 판매 추진
- 규제 승인 위한 통합 허가 신청서 제출 예정
이슈 1) 희토류: 미국-중국 무역전쟁의 갈등이 휴전이 아닌 종전이 될지?
1. 미국-중국, 90일간 무역전쟁 휴전 돌입 (5/12)
2. 희토류, 협상 카드로 부각
- 희토류, 첨단 산업의 필수 자원
- 포브스: 향후 협정서 가장 민감한 부분
- 미국 싱크탱크: 중국, 무기고서 희토류 빼지 않을 것
3. 중국,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
- 중국 상무부: 전략 광물 수출 통제 강화 회의 개최
- CCTV: 미국-중국 합의서 희토류 언급 없어
- 로이터: 희토류 두고 줄다리기 예상
4. 주요 외신과 월가의 반응
- 뉴욕타임스: 트럼프의 공격적 관세 정책의 한계
- 더이코노미스트: 희토류 통제, 미국을 해칠 수 있는 무기
- 블룸버그: 트럼프, 희토류 욕심, MAGA의 본질
- WSJ: 자원 확보 경쟁 더욱 치열해질 것
- IEA: 희토류 사용량, 2040년까지 4~7배 증가
- BDO: 핵심 광물 수요, 2020년까지 3배 증가
- 로이터: 중국, 희토류 통제하기만 할 수 없을 것
북극의 보물상자, 그린란드ㅣ희토류와 해상 운송로를 둘러싼 강대국의 다툼🚀
안녕하세요? 포항갈매기입니다^0^ 최근 국제무대에서 북극을 둘러싼 각국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습니다. 특히 북아메리카와 유럽 사이를 잇는 이 지역은 해상 운송로와 천연자원, 군사적 가치까
pohangseegull.tistory.com
러시아-우크라이나 '흑해휴전' 합의, 평화의 실마리 될까?🚀
안녕하세요? 포항갈매기입니다 러시아-우크라이나 분쟁의 전개 과정과 최근 흑해 휴전 합의가 어떤 배경에서 이루어졌는지, 그리고 이것이 진정한 전쟁 종식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다양한 관
pohangseegull.tistory.com
이슈 2) 두 경제 석학의 발언: 에드야데니 회장 / 제레미 시겔 교수
1. 제레미 시겔 교수 말말말
- 관세 효과 즉각 발효 안됨 / 진짜 영향 6월이나 7월
2. 야데니 리서치의 야데니 회장 말말발
- 미국 경제 정말 '견고하다' / 올해 안에는 금리인하 없을 것
3. 공통점과 차이점
- 공통점: 전반적인 펀더멘털이 탄탄 (야데니) / 경제 상태 자체 안정적 (시겔)
- 차이점: 연준의 '금리 정책 방향' 초점 (야데니) / 관세 영향받는 시점 (시겔)
이슈 3, CNBC) 미국, 사우디서 6천억 달러 투자 유치
1. 미국, 사우디서 6천억 달러 투자 유치 (1기와 동일한 순방루트)
- 방위 : 1420억 달러 규모 방위 장비 판매 계약 체결 → 미국, 사우디에 최첨단 무기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
- AI: 사우디 '데이터볼트', 미국 AI데이터 센터 /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추진
- 항공기: 48억 달러 규모 보잉 737-8 여객기 수출
2. 사우디 대미 대규모 투자 외신 반응
- CNCB
: 유가하락 및 비전 2030 따른 대규모 국내 투자지출로 사우디 재정적자가 커지는 상황
: 투자약속 실현, 쉽지 않을 것 - 블룸버그
: 작년 외국인 직접투자, 207억 달러에 불과: 매년 1천억 달러 투자유치 목표 미실현
3. 사우디 투자 유치 대표적 혜택 기업
1) 엔비디아
- 미국-사우디, 전략적 경제 동반차 협정 체결: 850조 원 투자 유치
- 젠슨황, 사우디 투자 포럼서 AI칩 공급발표
: 사우디 '휴메인'에 최신 AI칩 1.8만 개 공급
: 대규모 데이터센터용 칩 납품 (AI팩토리 구축: 사우디 정부와 협력) - 트럼프 행정부 'AI디퓨전 규칙' 공식 폐기 ★ ★ ★
- 오픈 AI, UAE 데이터센터 계약검토
2) 테슬라
- 사우디서 로보택시 도입 계획 언급 (시기는 불명확)
- 사우디서 휴머노이드 로봇 시연
- 스타링크, 사우디 내 항공기 및 선박서 공급 허가 획득
- 테슬라, 중국 신차 판매량 한주만에 69% 급감 ★ ★ ★
이슈 4, 로이터) 미국 4월 CPI, 전월비 +0.2%: 예상하회
1. 미국 4월 CPI, 전월비 +0.2%: 예상하회
- 미국 4월 CPI / 근원 CPI, 전월비 +0.2% (전년 동기 대비 2.3%)
2. 미국 4월 CPI 발표 월가 반응
- 모건스탠리
: CPI 예상하회, 관세가 경제에 영향 미치지 않는다는 의미 아님
: 아직 경제지표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뜻 - 스파르탄 캐피털: 연재 연준 관망태도 옳은 입장임을 시사함
- CIBC: 4월, 글로벌 관세체재 처음 시행되는 달: 관세 영향 미적용됨
- 클리어브리지: 향후 무역협상, 미국 정부 예산안이 중요 변수
5/12 ~ 5/17, 글로벌 증시 주요 일정
✅ 미국 CPI, PPI, , 소비자 심리지수, 파월 연설
📈 5월 12일 (월)
03:00 미국 FOMC 위원 Barkin 연설
*이벤트: 트럼프 중동순방 예정(~16), SEC 라운드테이블: 자산 온체인화/토큰화 (미국 워싱턴 DC)
📈 5월 13일 (화)
21:30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(MoM) (4월)★
21:30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(YoY) (4월)★
📈 5월 14일 (수)
18:00 중국 M2 통화재고 (YoY) (4월)
23:30 미국 원유재고
*실적: 소니, 시스코
📈 5월 15일 (목)
21:30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(MoM) (4월)
21:40 미국 연방준비제도(FED) 의장 Powell 연설★
*실적: 월마트★, 알리바바
📈 5월 16일 (금)
05:30 미국 Fed's Balance Sheet
23:00 미국 미시간 5년 인플레이션 예상 (5월)
🚩주요 일정
5.22 트럼프, $TRUMP 상위 보유자 초청 만찬
5.27 Bitcoin 2025(~29, 미국 라스베이거스)
5.29 한국 금리결정
5.30 FTX 2차 상환일
6.03 한국 대선
'미국증시현황 및 요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5월 17일 미국 증시 현황]_아침 10분으로 美 증시 완벽 이해ㅣ미국 4월 PPI급락, 환율전쟁, APEC회의 (34) | 2025.05.17 |
---|---|
[5월 15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사우디/카타르 빅딜, 엔비디아 질주, 환율전쟁의 서막? (30) | 2025.05.15 |
[5월 12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미중무역협상, 엔비디아, 테슬라, 비트코인 급등 (12) | 2025.05.12 |
[5월 8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FOMC, 금리동결, 미중무역협상, AI반도체 규제 해제? (20) | 2025.05.08 |
[5월 7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원달러 환율 급락, 버핏 은퇴, 팔란티어 급락 (42) | 2025.05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