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10903_경제용어 정리 Part1
1. 가산금리 -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 - 신용도高: 가산금리 낮음, ...
blog.naver.com
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
- 미국 3월 소비자 신뢰지수 92.9: 소비자 심리 12년래 최악
- 미국 2월 신규주택판매 전월비 +1.8%: 회복세 전환
- 러시아, 우크라이나: 흑해휴전 동의: 러시아 '금융제재 해제' 추가 조건
- TSMC, 올해 하반기 2 나노 양산: 내달 수주 시작
- 독일 SAP, 유럽 최고 시총기업 등극: 노보노 디스크 제쳐
- 딥시크, AI모델 V3업데이트 버전 공개: 개발자 지원 기능 개선
오늘의 미국 3대 지수 및 글로벌 증시 현황 및 요약
1. 미국증시: 상승, 소비자 신뢰지수 4년래 최저
- 미국 3월 소비자 신뢰지수 92.9: 소비자 심리 12년래 최악 → 불확실성 증가
: 미국 무역정책, 관세우려: 개인 경제 상황 판단에도 영향
: 가계, 기업심리 냉각에 투자/ 소비위축 침체우려 증가
: HSBC, 미국 주식 재차 '하향조정' → 경제에 대한 기대치 및 활동급락 지표가 많아지고 있음. - 1년 후 기대인플레이션 6.2%: 3개월 연속 상승
: 쿠글러 연준이사, 기대인플레 높아지고 있는 점 예의 주시하고 있음.
: 애틀랜타 연은총재: 올해 인하전망, 2 → 1회 축소 전망
: 시장, 경기둔화 (스태그플레이션)에 초점 - 상호관세 D-7: 최악 피할 것 vs 예상보다 강경
: 트럼프, 관세 관련해 '멕시코와 캐나다, 상당히 분발했다'
: 경계감) 상호관세, 투트랙 진행될 수도, 최대 50% 긴급관세 가능성
: 트럼프, 감세 위한 세수 창출 수단으로 관세 활용 중 - 미국 2월 신규주택판매 전월비 +1.8%: 회복세 전환
2. 유럽증시: 일제히 상승
- 미국 상호관세 완화 기대감
- 독일 대규모 예산 법안, 유로존 경제 재부흥 이끌 것
- 독일 SAP, 유럽증시 시총 1위 등극: 노보노디스크 제쳐
3. 아시아증시
1) 일본증시: 닛케이, 반도체주 중심 매수세 유입
- 일본 자동체 업계, 트럼프 행정부서 관세 면제 약속 못 받아
2) 중국증시: 하락세
- 비야디, 사상 첫 연 매출 1천억 돌파 불구 주가하락
- 샤오미, 홍콩증시서 8조 원 조달 (8억 주 매각 발표)
- 딥시크, AI모델 V3업데이트 버전 공
3) 대만증시: 상승폭 제한
- 대만 폭스콘, 미국 휴스턴서 공장건설: AI서버 확충 복적
- 지정학적 리스크로 상승폭 제한
원자재 및 암호화폐 현황
1. 국제유가 보합권: 러시아 우크라이나 부분휴전 합의
: 러시아 - 우크라이나, 미국 중재로 '흑해 휴전' 동의
: 로이터, OPEC+, 5월 석유 증산 가능성
: 베네수엘라, 석유 수입국 25% 관세 영향 지속
2. 구리, 역대 최고가 돌파
3. 비트코인, 8.8만 달러 회복: 2분기 강세 모먼트 보일 가능성 보임
1) 금: 3,054.72 USD/OZ
- 상승세, 상호관세 불확실성 주목
2) 국제유가&천연가스
3) 미국 10년물 국채금리: 4.338 % P
- 미국 CB 3월 소비자 신뢰지수 92.9: 4년래 최저
- 미국 3월 소비자 심리기대지수 65.2: 12년래 최저
- 미국 2년물 국채입찰 응찰률 2.66베: 수요양호
4)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: 4,661.3
5) 비트코인: 87,205.3 USD/BTC
6) 달러인덱스: 104.24 (1464.88 달러/원)
- 미국 달러화, 트럼프 행정부 불확실성 주시 (약세)
개별 기업 현황 및 요약

1) 필수소비재: 타깃, 월마트
- 필수소비재 섹터 하락세: 소비지출 감소 영향
- 싱크로니 "고물가, 경기 둔화에 소비 위축
- 가계 재정 양호, 신중 소비로 전환
- 타깃, 월마트: 할인, 저가 제품 선호 뚜렷
- 소비심리 위축: 소매 실적 악화 우려 증가
2) 애플
- EU서 아이폰 브라우저 관련 과징금 피할 전망
- 디지털시장법 맞춰 기능수정
- 과징금, 시정명령 가능성 감소
- EU, 조사 이르면 다음 주 종결예정
- 트럼프, EU제재 시 보복관세 예고: 미국-EU 갈등 속 결정 주목
3) 테슬라
- 2월 유럽서 매출 전년비 40% 급감
- 전체점유율 1.8%, 전기차 점유율 10.3% 하락세
- EU 탄소배출권 연합 구성 → 판매 부진 시, 균형 유지 어려울 우려
- 중국, 보험등록건수 증가: 3/17~23 (전주대비 11% 증가)
- 파이퍼샌들러: 테슬라 매출 감소 원인분석 (비중확대, 목표가 450달러)
: 머스크 정치행보, 후요에 영향 미칠 가능성 있음
: 테슬라, 연간 두 자릿수 인도량 감소 주된 이유 아님
→ 모델 Y 대기시간 증가, 생산공장 몇 주간 가동 중단
4) 오클로
- 연간 EPS -0.74 (전년대비 적자 확대)
- 수익 없는 초기 기업, 손실 지속 전망 (SEC공시)
- 소형원자로 오로라 인허가 절차 시작 발표: 아이다호 국립연구소 내 건설/운영 목표
- 현재 사전 검토 진행 중, 입지/ 환경 서류 심사 중
5) 크라우드 스트라이크
- BTIC: 중립 → 매수
- 7월, IT 장애 이후 실적 예측 신뢰도 개선
- 27년 ARR(연간 반복 매출): 시장 예상 대비 최대 +2.58%
- 100억 달러 ARR목표, 조기 달성 가능성 언급
- 2028년까지 연평균 25% 이상 성장 전망: 시장 기대치 상회
6) 트럼프미디어
- 트루스소셜 운영사: 크립토닷컴과 파트너십 체결
- 금융브랜드 중심의 ETF 등 출시 예정
- 올해 디지털자산+미국 기업중심 ETF 선보일 계획
7) 모빌아이 글로벌
- 모빌아이, 폭스바겐, 발레오 협력 발표
- VW MQB 플랫폼 차량에 첨단 ADAS 탑재예정
- 부품 조달, 시스템 복잡성 감소: 효율성 강화
- 모빌아이 ADAS+발레오센서 통합 시스템 적용
- 핸즈프리 주행, 자동주차 + 위험감지 등 기능 제공
8) 알파벳
- 웨이모, 내년 워싱턴 완전 자율주행 호출 추진
- 올 1월부터 차량배치, 몇 주 내 추가 투입 예정
- 내년 유료 상업 서비스 본격화 계획
- 현재 운전자 없는 차량 허용 안됨 → 법 기준 마련 위해 정책 협의 중
10) 게임스탑
- 비트코인, 재무 준비자산 추가발표
- 실적: EPS_예상상회, 매출_예상하회
11) 알루미스
- 일본 기업 가켄 제약, 4천만 달러 단기 계약 체결
- 기술이전 협력 기반 마련
12) KB홈
- 실적: EPS/매출 예상하회
- 2025년 매출 가이던스 하향조정
이슈 1) 배당귀족주에 대하여
1. 울프리서치
1) PICK '배당귀족주' 조건
- S&P500 배당귀족 지수 포함
- 1년간 시장 평균보다 높은 배당성장률 기록
- 배당 수익률, 시장서 중간 수준 이상 기록
2) 월마트: 투자포인트
- 투자의견: 매수, 목표가_110달러
- 배당수익률 1.1%
- 애널리스트 91%, 매수등급 유지
- 평균 목표가, 향후 27% 상승 전망
3) 프록터 앤드 겜블
- 투자의견:, 매수, 목표가 182달러
- 배당수익률 2.4%
- BoA, 신뢰가능한 수익 성장기업
- 애널리스트 61%, 매수의견
- 평균목표가, 향후 10% 상승 전망
2. 골드만삭스 PICK: 펩시코
- 투자의견: 보유, 목표가 162달러
- 배당수익률 3.8%
- 올 6월부터 연간 배당금 5% 인상: 주당 5.69달러
- 골드만삭스, BoA : 매수의견
- 평균 목표가, 향후 11% 상승 전
이슈 2) 미국 정부 부채한도 위기
1. 로이터: 이르면 7월 채무불이행 가능성 제기
- 싱크탱크, 미국 의회가 국가 부채한도 상향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, 7월 중순에 미국 정부가 디폴트에 빠질 수도..
- 1월 특별 조치 시행 이후 처음으로 나온 엑스데이트 전망이며, 세금 신고가 마무리되는 4월에 보다 정교한 점망이 가능
2. 주요 외신 헤드라인
- 블룸버그: 조여 오는 미국 부채한도 데드라인
- 폴리티코: 부채한도 상향 없을 시 디폴드 시기 앞당겨질 것
- 뉴욕타임스: 세수 부족시 6월 한계 도달 가능성 존재
3. 미국 연방부채 규모
- 지난해 9월 미국 재정적자 규모, GDP대비 6.4%
- 향후 3.6조 달러까지 확대 가능
: 2025 회계연도 첫 5개월 재정적자, 1조 달러 돌파
: 부채에 대한 정부 이자 부담: 4780억 달러
: 2월 한 달간 적자, 3070억 달러: 전년비 +3.7% - 베센트 '10년물 미국 국채금리' 하향조치
: 10년물 국채발행량 축소
: 은행규제완화 통해 채권 수요 증가
: 머스크 주도 재정적자 감축 캠페인 지지 → 미국 정부 10년물 국채금리 낮출 계획
4. 월가의 전망
- 바클레이즈: 10년물 국채금리 전망 하향조정: 4.3 → 4.0%
- 소시에트: 현 정부, 사실상 국채금리 상한선 설정
- BNP 파리바스: 연준과 싸우지 말라 → 재무부와 싸우지 말라
- 블룸버그: 높은 인플레 지속 지출 축소 실패 → 국채금리 상승
- 프랭클린: 재정적자 확대 시, 10년물 국채금리 5% 넘을 것
이슈 3- The econimist) 투자자들의 발 밑에서 땅이 흔들리고 있다
1. 미국 CNBC, 최고 재무책임자 20명 설문
- 제1 위험 요인은 트럼프 관세
- 올해 하반기 이후 침체 예상 (7% → 60%)
- SOX 추가하락 제한 가능성도 존재
이슈 4-로이터) 인도, 삼성전자에 9000억 원 과징금 폭탄 ★
1. 인도, 삼성전자에 9000억 원 과징금 폭탄
- 2023년 인도 순이익의 절반이 넘는 규모
- 2018년 인도 수입관세 분쟁이슈 → 법적 대응을 진행했고, 일부 금액을 조정
- 수입 품목을 잘못 분류한 혐의
- 영업이익 감소 요인 작용 가능성 증가
이슈 5-CNN) 러시아-우크라이나, 흑해휴전 동의
1. 러시아-우크라이나, 흑해휴전 동의
- 미국 중재로 양국 흑해휴전 동의: 미국과 러시아의 실무협상 결과
- 흑해 통한 러시아 곡물 수출 유리
- 우크라이나 국방부: 흑해 안전한 항해 보장
이슈 6) 중국 딥시크, AI모델 V3업데이트 버전 공개
1. 허깅 페이스에 V3-0324 업데이트 버전 공개
- 코드생성, 디버깅, 알고리즘 해결 등 개발자 지원 기능 향상
- 정확성, 효율성 측면서 기준점 제시: 문제 해결 능력 증가
2. 중국 반도체 활용해 AI모델 훈련: 엔비디아 H800과 맞먹는 효과
3. 미국 빅체크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설 투자 의문 제기
3/24 ~ 28, 글로벌 증시 주요 일정
📈 3월 24일 (월)22:45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(3월)★22:45 미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(3월)*실적: 루시드📈 3월 25일 (화)02:45 미국 FOMC 위원 Bostic 연설22:05 미국 FOMC 멤버 Williams가 연설23:00 미국 CB 소비자신뢰지수 (3월)23:00 미국 신규 주택판매 (2월)*이벤트: 보아오 포럼(~26)*실적: 게임스탑, 룰루레몬
📈 3월 26일 (수)
02:00 미국 M2 통화공급량 (MoM) (2월)
16:00 영국 소비자물가지수 (YoY) (2월)
19:00 영국 봄 예산 전망 보고서
22:30 미국 원유재고
23:00 미국 FOMC 멤버 Kashkari가 연설
*이벤트: 블록체인 서밋 2025(미국 워싱턴), ETH 후디 테스트넷 진행
📈 3월 27일 (목)
21:30 미국 GDP (QoQ) (4분기)★
21:30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
*이벤트: SEC 의장 후보자인 폴 애킨스 상원 청문회
*실적: 비트팜스
📈 3월 28일 (금)
05:30 미국 Fed's Balance Sheet
05:30 미국 FOMC 위원 Barkin 연설
16:00 영국 GDP (YoY) (4분기)
16:00 영국 GDP (QoQ) (4분기)
21:30 미국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(YoY) (2월)★
21:30 미국 근원 소비지출물가지수 (MoM) (2월)★
🚩주요 일정
4.01 미국 국가별 상호관세 구체안 검토(4.2 발효)
4.09 SEC, 블랙록 ETH ETF 옵션 거래 승인 여부 결정
4.23 연준 베이지북 공개, $SOL 그레이스케일 현물 ETF 승인 2차 마감
$ETH Pectra 메인넷 업그레이드(4월 말 예정)
5.30 FTX 2차 상환일
[정보공유] 미국 주식 시간 및 프리장 공유
안녕하세요? 포항갈매기 입니다. 최근들어 모바일 앱으로도 다 해외거래가 가능하기에 (MTS) 미국 주식...
blog.naver.com
'미국증시현황 및 요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월 28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자동차관세,그린란드,경제지표 (26) | 2025.03.28 |
---|---|
[3월 27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자동차관세, 중국당국 반도체규제 (26) | 2025.03.27 |
[3월 25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트럼프 관세, 테슬라급등, 엔트그룹AI (27) | 2025.03.25 |
[3월 24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관세유연화? 테슬라 긴급회의? (20) | 2025.03.24 |
[3월 21일 미국 증시 현황]_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및 요약ㅣ마이크론, 엔비디아, 테슬라, 미국경기지표 (19) | 2025.03.21 |